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원리]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3)

이 포스팅은 아래 링크의 책을 읽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https://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31553482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는 네트...

www.kyobobook.co.kr

 

순서

1장: 브라우저가 요청을 의뢰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

2장: 데이터를 운반하는 구조 설명. OS에 내장된 프로토콜 스택이 하는 일 설명

3장: LAN 어댑터가 송신한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 (스위칭 허브, 라우터)

4장: 인터넷 접속용 라우터의 앞부분, 인터넷 내부에 대한 구조 설명

5장: 웹 서버측의 LAN에 방화벽, 캐시 서버에 대한 설명

6장: 프로토콜 스택이 패킷의 메시지를 복원하고 서버에 넘기는 과정 설명

 

3장

개요

- 케이블에 송출한 패킷이 리피터 허브, 스위칭 허브,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을 향해 진행하는 부분을 탐험한다

 

목차

1. 케이블과 리피터, 허브 속을 신호가 흘러간다

2. 스위칭 허브의 패킷 중계 동작

3. 라우터의 패킷 중계 동작

4. 라우터의 부가 기능

 

1. 케이블과 리피터, 허브 속을 신호가 흘러간다

1. 하나하나의 패킷이 독립된 것으로 동작한다

- 컴퓨터에서 송신된 패킷은 허브나 라우터라는 중계 장치에 의해 중계되어 목적지를 향해 진행한다.

- 중계 장치는 데이터 부분을 보지 않고 패킷을 중계한다.

- 내용을 보지 않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나 TCP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의 내용이 패킷을 운반하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음. 그러므로 모든 패킷은 아무 관련도 없는 별개의 것으로 간주하고 목적지를 향해 중계된다.

 

2. LAN 케이블은 신호를 약화시키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 LAN 어댑터의 PHY(MAU) 회로에서 전기 신호로 형태를 바꾼 패킷은 RJ-45 커넥트를 통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 들어간다.

PHY: 100메가비트/초 이상의 이더넷

- LAN 어댑터의 PHY 회로는 RJ-45 커넥터에 직접 결선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1번 핀과 2번 핀에서 케이블로 신호가 흘러나간다. 신호는 케이블 속을 흘러 리피터 허브의 커넥터 부분에 도착하고, 이 부분은 단순히 전기 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달 되는 것이다.

- 송출된 신호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허브에 도착하는 것이 아니라 허브에 도착할 때는 신호가 약해져 있다. 케이블이 길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진다.

- 주파수가 높을수록 에너지가 떨어지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전기 신호의 성질과 관련있다. 전파의 방출량이 높아지고 방출된 부분만큼 에너지가 송신된다.

- 약해진 신호는 변형되기에 0과 1을 잘못 판독할 수 있고, 이것이 통신 오류의 원인이 된다.

 

3. '꼼'은 잡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 신호선을 마주 꼬아서 잡음을 막을 수 있다.

잡음이 생기는 원리
- 잡음의 원인은 케이블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이다. 전자파가 금속 등의 도전체에 닿으면 그 안에 전류가 발생한다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케이블의 주위에 전자파가 있으면 신호와는 다른 전류가 케이블 안에 흐른다. 그 결과 신호와 잡음의 전류가 뒤섞여서 신호의 파형이 변형된다.
케이블에 영향을 받는 전자파 두 종류
1. 모니터, 형광등에서 누설되는 전자파
- 케이블의 밖에서 오는 것으로, 선을 꼼으로써 막을 수 있다.
- 금속에 전자파가 닿으면 전자파 진행 방향의 오른쪽으로 전류가 생긴다. 신호선을 마주 꼬면 형태가 나선형이 되어 꼰 옆의 선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그 결과 잡음에서 생긴 전류가 서로 상쇄되어 잡음에 의한 전류는 약해진다.

2. 같은 케이블 안의 인접한 신호선에서 누설되는 전자파
- 신호도 전류이므로 전류에 의해 주위에 전자파가 생긴다. 이런 잡음에 대한 영향을 크로스토크라고 한다.
- 한 개의 케이블에 넣은 신호선을 '꼬는' 간격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약간씩 다르다. 꼬는 간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면 어떤 부분에서는 플러스 신호가 가까이에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마이너스 신호선이 가까워진다. 그러면 플러스와 마이너스에서는 잡음의 영향이 반대가 되므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균형이 잡히면서 잡음의 영향이 줄어든다.
- 신호선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신호선 사이에 구분판을 넣거나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금속성의 실드라는 피복을 입히는 등 여러 대책이 있다.

- 성능은 카테고리라는 척도로 성능을 나타낸다.

 

4. 리피터 허브는 연결되어 있는 전체 케이블에 신호를 송신한다

- 신호가 리피터 허브에 도착하면 LAN 전체에 신호가 흩어진다.

- 각 커넥터의 안쪽에 LAN 어댑터 내부에 있는 PHY(MAU) 회로와 역할이 같은 회로가 있다. 제대로 수신하려면 '송신 단자'에서 보낸 신호를 '수신 단자'로 받도록 해야한다. 이 때문에 허브 안에서 PHY의 회로와 커넥터 사이의 신호선을 교차시켜서 접속한다.

- 리피터 허브 끝의 커넥터에는 MDI / MDI-X와 같이 쓰여있는 전환 스위치가 있는데, MDI는 RJ-45 커넥터와 신호 송/수신 회로를 직접 결선한 것이고, MDI-X는 교차하여 결선하는 것이다. 허브끼리 접속할 때는 보통 MDI-X로 한쪽을 MDI로 설정해야 한다. 만약 MDI 전환 스위치가 없고 모든 커넥터가 MDI-X인 경우에는 크로스 케이블로 허브들을 접속한다. 크로스 케이블은 송신과 수신 단자가 바뀌어 들어오도록 신호선을 접속한 케이블이다.

- 리피터 허브에서 PHY 회로의 수신부에 도달한 신호는 여기부터 리피터 회로에 들어간다. 리피터 회로의 기본은 들어오는 신호를 리피터 허브의 커넥터 부분에 뿌리는 데 있다. 기본적으로 들어온 신호를 그대로 커넥터 부분에 송출한다.

- 신호는 모든 커넥터에서 나가면서 리피터 허브에 접속한 전체 기기에 도달한다. 신호를 수신한 기기는 맨 앞에 있는 MAC 헤더에 쓰여 있는 수신처 MAC 주소를 조사하여 자신이 수신처에 해당하면 이것을 수신하고, 해당하지 않으면 수신한 신호를 무시한다.

- 리피터 회로의 기본은 신호를 그대로 뿌리는 것. 데이터가 변화한 것 같은 신호라도 그대로 흘려버린다. 나중에 FCS를 검사하는 곳에서 데이터 변화가 판명된 후 변화된 패킷은 폐기된다. 어차피 TCP 담당 부분이 패킷을 다시 보낸다.

 

2. 스위칭 허브의 패킷 중계 동작

1. 스위칭 허브는 주소 테이블로 중계한다

- 스위칭 허브는 이더넷의 패킷을 그대로 목적지를 향해 중계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 신호가 커넥터 부분에 도달하여 PHY 회로에서 수신되는 부분까지는 리피터 허브와 같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이것이 PHY 회로의 수신 부분에 들어간다.

- PHY 회로에서 케이블을 흐르는 신호의 형식부터 공통의 신호 형식으로 변환한 후 신호는 MAC 회로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패킷의 맨 끝에 있는 FCS를 대조하여 문제가 없으면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 커넥터와 안족에 있는 회로 부분을 포트라고 부른다. 스위칭 허브의 각 포트는 PC의 LAN 어댑터와 거의 같다.

- LAN 어댑터와 다른 점은, LAN 어댑터에는 MAC 주소가 할당되어 있어서 수신한 패킷의 수신처 MAC 주소가 자신에게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패킷을 폐기한다.

- 반면 스위칭 허브의 포트는 수신처 MAC 주소를 검사하지 않고 모든 패킷을 수신하여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스위칭 허브의 포트에는 LAN 어댑터와 달리 MAC 주소가 할당되어 있지 않음

- 패킷을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면 다음에 수신처 MAC 주소와 일치하는 것이 MAC 주소표에 등록되어 있는지 조사한다.

- 신호선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교점에 스위치가 있다. 스위치는 전자적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입력측은 수신 측 포트에, 출력 측은 송신 측 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 신호의 교점에 있는 스위치는 각각 독립하여 움직이므로 신호가 중복되지 않으면 복수의 신호를 동시에 흘릴 수도 있다.

- 송신 측의 포트에 패킷을 운반하면 MAC 회로나 PHY 회로가 송신 동작을 실행하고 케이블에 신호가 흘러간다

- 누군가가 송신 중이면 그것이 끝날때까지 기다리고, 송신 동작이 끝나거나 아무도 송신하지 않으면 소켓을 디지털 데이터에서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 송신 동작 중에 다른 기기가 보낸 신호가 수신 측이 들어오면 패킷이 충돌하므로 재밍 신호를 보낸 후 송신 동작을 중지하고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보낸다.

 

2. MAC 주소 테이블을 등록 및 갱신한다

- 스위칭 허브는 패킷을 중계할 때 MAC 주소표의 내용을 갱신하는 동작도 실행한다.

 

갱신동작의 두 종류

  1. 패킷 수신 시 송신처 MAC 주소를 조사하고, 이것을 수신한 입력 포트 번호와 하나의 세트로 MAC 주소표에 등록하는 것. 한번이라도 패킷을 송신하면 해당 기기의 MAC 주소가 MAC 주소표에 등록된다.

  2. 내용을 지우는 동작. MAC 주소표에 등록한 정보는 그대로 두지 않고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한다.

 

- MAC 주소표의 내용은 수동으로 등록 및 삭제할 필요가 없다. 고급 기종은 수동으로 주소를 등록 및 말소하는 기능이 있다.

 

3. 예외적인 동작

- 주소표에 등록되어 있는 송신 포트가 패킷을 수신한 포트와 같을 경우 스위칭 허브는 패킷을 수신한 포트와 송신하는 포트가 같은 경우 패킷을 폐기한다.

- MAC 주소표에 수신처 MAC 주소와 일치하는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느 포트에서 송신해야 할 지 판단할 수 업스므로 패킷을 수신한 포트 이외의 전체 포트에서 패킷을 송신한다.

- 수신처 MAC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인 경우에도 수신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에서 패킷을 송신한다.

 

4. 전이중 모드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실행한다

- 전이중모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성질. 이더넷의 규칙을 개정하며 신호가 흐르고 있어도 상관하지 않고 송신해도 좋다는 동작 모드를 새로 추가했다. 이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는 신호의 충돌을 검출하는 회로를 무효화 하기로 했는데, 이것이 전이중모드이다.

 

5. 최적의 전송 속도로 보내는 자동 조정

- 자동 조정: 동작 모드 뿐만 아니라 상대의 전송 속도를 검출하여 전송 속도도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능.

- 이더넷은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는 링크 펄스라는 펄스 형의 신호를 흘린다. 커넥터 주변에 초록 LED의 표시등으로 링크 선이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특정 패턴으로 펄스 신호를 송신하여 자신의 상황을 상대에게 전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자동 조정은 이 방법을 이용한다. 이 패턴에 의해 지원 가상한 모드와 전송 속도를 서로 통지하고, 그 중에서 최적의 조합을 선택한다.

 

6. 스위칭 허브는 복수의 중계 동작을 동시에 실행한다

- 스위칭 허브는 수신처 MAC 주소의 기기가 존재하는 포트 이외에는 송신 동작을 실행하지 않으므로 다른 포트는 빈 상태가 된다. 비어있으므로 여기에서 별도의 패킷을 흘릴 수 있고, 동시에 여러 개의 패킷을 중계할 수 있다.

 

3. 라우터의 패킷 중계 동작

1. 라우터의 기본 

- 리피터 허브나 스위칭 허브를 경유한 패킷은 결국 라우터에 도착하고,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중계될 것이다. 중계의 원리는 스위칭 허브와 비슷하다. 중계 대상을 등록한 표를 보고 패킷을 어디로 중계해야 할지 판단하는 부분이 공통이기 때문이다.

- 하지만 구체적인 동작은 스위칭 허브와 다른데, 그 이유는 라우터의 바탕이 되는 IP라는 개념이 스위칭 허브의 바탕이 되는 이더넷과 다르기 때문이다.

- 라우터는 중계 부분과 포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계 부분은 패킷의 중계 대상을 판단하는 동작을 담당하고, 포트 부분은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라우터의 중계 부분은 IP 담당 부분과 같고, 포트 부분은 LAN 어댑터와 같다.

- 라우터의 포트 부분에 무선 LAN용 하드웨어를 장착한 기종이라면 무선 LAN도 지원할 수 있다. 포트 부분에 통신 기술의 하드 웨어를 장착하면 다양한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 라우터는 먼저 포트 부분에서 패킷을 수신한다. 이 동작은 포트 부분의 통신 기술의 규칙을 따른다. 중계 부분에서 받은 패킷의 IP 패킷에 기록되어 있는 수신처 IP 주소와 중계 대상을 등록한 표를 대조하여 중계 대상을 판단한다. 그리고 중계 대상측의 포트로 패킷을 옮기고 포트 부분의 하드웨어 규칙에 따라 패킷 송신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도 포트 부분에 의뢰하여 패킷을 송신한다.

- 예를 들어 포트가 이더넷인 경우 라우터의 포트에는 MAC 주소가 할당되어 이더넷의 송신처나 수신처가 된다. 패킷을 중계할 때는 먼저 라우터의 포트 부분이 수신처가 되어 이더넷의 패킷 수신 동작을 실행한다.

- 스위칭 허브는 들어온 패킷을 전송하기만 하고 자신이 송신처나 수신처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 라우터와 다른점이다.

 

2. 경로표에 등록된 정보

- 구체적인 동작은 스위칭 허브와 다르다. 스위칭 허브가 MAC 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수신처 MAC 주소로 중계 대상을 판단하지만, 라우터는 IP 헤더에 기재되어 있는 수신처 IP 주소로 중계 대상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 라우터의 테이블은 라우팅 테이블 또는 경로표라고 부른다.

- 수신처 항목에는 수신처의 정보가 들어있다. 라우터는 호스트 번호를 무시하고 네트워크 번호 부분만 조사한다.

- 주소 집약이라는 개념을 이용하면 몇 개의 서브넷을 모아서 한 개의 서브넷으로 간주한 후 묶은 서브넷을 경로표에 등록할 수 있다.

-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항목은 패킷의 중계 대상을 나타낸다. '수신처'와 '넷마스크' 항목에서 해당 행을 찾아내면 '인터페이스'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인터페이스(포트)에서 '게이트웨이'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IP 주소를 가진 라우터에 대해 패킷을 중계한다.

- 메트릭은 수신처 IP 주소에 기록되어 있는 목적지가 가까운지, 먼지를 나타낸다. 여기 등록되어 있는 수가 작으면 목적지가 가까이 있고, 이 수가 크면 먼 것을 나타낸다.

 

라우터 경로표에 경로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

  1. 사람이 수동으로 경로 정보를 등록/갱신

  2. 라우팅 프로토콜이라는 구조를 사용하여 라우터들끼리 경로 정보를 교환하고 라우터가 자체에서 경로표에 등록 (복수의 프로토콜이 존재 - RIP, OSPF, BGP)

 

3. 라우터의 패킷 수신 동작

- 이더넷의 포트 부분의 구조는 PC의 LAN 어댑터와 거의 같으므로 패킷을 수신하여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는 부분까지의 동작도 LAN 어댑터와 거의 같다.

- 신호가 커넥터 부분에 도착하면 안쪽에 있는 PHY 회로와 MAC 회로에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패킷 끝부분의 FCS를 대조하여 오류의 유무를 점검하고, 정상일 경우 MAC 헤더의 수신처 MAC 주소가 자신에게 해당하는지 조사하여 해당하면 패킷을 수신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해당하지 않을 경우 패킷은 폐기된다.

 

4. 경로표를 검색하여 출력 포트를 발견한다

- 라우터는 패킷 수신 동작이 끝나면 맨 앞의 MAC 헤더를 폐기한다. MAC 헤더의 역할은 이 라우터에 패킷을 건네주는 것이다. 패킷을 수신하면 역할이 끝나기 떄문에 MAC 헤더를 폐기하는 것이다.

- MAC 헤더의 뒤에 있는 IP 헤더의 내용을 보고 패킷 중계 동작에 들어간다.

  1. 경로표에서 중계 대상을 조사한다.

  2. 중계 대상을 조사할 때 가장 먼저 수신한 패킷의 수신처 IP 주소와 경로표의 '수신처' 항목을 조사하여 해당하는 행을 찾는다. 32비트 전부를 비교하는 게 아니라, '넷마스크' 항목에 등록된 값에서 네트워크 번호의 비트 수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번호 부분만 비교한다.

  3. 해당하는 것을 찾으면 복수의 후보가 나올 수도 있다. 이 경우엔 네트워크 번호의 비트 수가 가장 긴 것을 찾는다.

  4. 네트워크 번호의 길이가 같은 것이 여러 행 존재하는 경우도 있는 데, 이 경우 메트릭 값으로 가장 값이 작은 쪽을 중계 대상으로 선택한다. 

  5. 해당하는 행이 한 개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경우, 라우터는 패킷을 폐기하고, ICMP 메시지로 송신처에 이 사실을 통지한다. 스위칭 허브와 마찬가지로 모든 포트에 패킷을 뿌릴 경우, 전 세계에 펼쳐져 있는 라우터의 네트워크를 혼잡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중계 대상이 분명하지 않은 패킷을 폐기한다.

 

5. 해당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에 선택하는 기본 경로

- 넷마스크가 0.0.0.0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중요하다. '넷마스크' 항목이 0.0.0.0이라는 것은 패킷의 수신처 IP 주소와 경로표의 '수신처' 항목을 비교할 때의 비트 수가 0이라는 것이므로 비교 동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 이 행의 '게이트웨이' 항목에 인터넷으로 나가는 라우터를 등록해 두면 다른 행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 패킷을 그곳으로 중계한다. 이 행을 기본 경로라고 하며, 여기에 등록한 라우터를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6. 패킷은 유효 기한이 있다

- 경로표에서 중계 대상을 찾아내면 패킷을 출력측의 포트로 옮기고 여기에서 송신하는데, 라우터는 그 전에 몇 가지 할 일이 있다. 우선 TTL(Time To Live)이라는 IP 헤더의 필드를 갱신하는 것이다. 

- TTL은 패킷의 생존 기간을 나타낸다. 라우터를 경유할 때마다 이 값을 1씩 줄이다가 이 숫자가 0이되면 패킷의 생존 기간이 만료되는 것으로 간주, 패킷을 폐기한다. 이것은 패킷이 같은 장소를 뱅글뱅글 순환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것이다.

 

7. 큰 패킷은 조각 나누기 기능으로 분할한다

- 포트 부분은 이더넷뿐만 아니라 이더넷 이외의 LAN이나 통신 회선의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든지 중계하는 패킷의 크기가 출력측의 패킷 최대 길이를 초과하면 그대로는 패킷을 송신할 수 없다.

- IP 프로토콜에 규정된 조각 나누기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패킷을 분할하고, 패킷의 길이를 짧게 만든 후 중계한다.

- TCP가 데이터를 조각으로 분할하는 것과 다르다. TCP의 데이터 분할은 패킷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결국 분할된 데이터 조각을 한 개의 패킷에 담는 것이다. 하지만 조각 나누기쪽은 패킷이 만들어진 후에 패킷을 분할하는 것을 가리킨다.

 

조각나누기의 동작

  1. 먼저 출력측의 MTU(한 개의 패킷으로 운반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길이)를 조사하여 중계하는 패킷을 그대로 출력측에서 송신할 수 있는지 조사한다.

  2. 출력측의 MTU가 작은 경우에는 여기에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패킷을 분할하는데, 그 전에 IP 헤더의 플래그 필드를 조사하여 분할해도 좋은지 확인한다. (분할할 수 없다면 ICMP 메시지로 통지)

  3. 출력측의 MTU에 맞춰 데이터 부분을 맨 앞부분부터 차례대로 잘라낸다. TCP 헤더 이후의 부분을 데이터로 간주한다. 

  4. 데이터를 분할하면 여기에 IP 헤더를 덧붙인다. 그 내용은 원래 패킷의 IP 헤더를 그대로 복사한 것인데, 이 떄 일부 필드는 고쳐쓴다. (분할한 핵심 정보를 IP 헤더에 기록하기 위해서)

 

8. 라우터의 송신 동작은 컴퓨터와 같다

- 송신 동작은 출력측의 포트에 따라 다르다. 이더넷이라면 이더넷의 규칙에 따라, ADSL이라면 해당 규칙에 따라 신호를 변환하여 송신한다. 이 책에서는 이더넷인 경우를 설명한다.

- 이더넷의 패킷 송신 동작은 이더넷의 규칙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기종이 달라도 마찬가지이다. 패킷 송신 동작의 기본은 프로토콜 스택의 IP 담당부분이 패킷을 보낼 때와 같다. 

- 출력측의 포트가 이더넷이면 송신한 패킷은 스위칭 허브를 경유하여 다음 라우터에 도달한다. 수신처 MAC 주소에 다음 라우터의 주소가 쓰여 있으므로 스위칭 허브가 이걸 보고 다음 라우터까지 패킷을 운반해 오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 라우터가 다시 그 다음의 라우터에 패킷을 중계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어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한다.

 

9. 라우터와 스위칭 허브의 관계

- 라우터는 패킷을 운반하는 일을 스위칭 허브에 의뢰한다. 

- IP가 이더넷에 의뢰하는 것은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라우터에 패킷을 운반하는 것이다.

- 통신 상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전체의 동작은 IP(라우터)가 담당하고, 이 동작을 할 때 다음 라우터까지 패킷을 운반하는 부분은 이더넷(스위칭 허브)이 담당하는 것이다.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다른 통신 기술에 의뢰하여 패킷을 운반하는 것이다.

 

4. 라우터의 부가 기능

1. 주소 변환으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2. 주소 변환의 기본 동작

3. 포트 번호를 바꿔 쓰는 이유

4. 인터넷에서 회사로 액세스한다.

5. 라우터의 패킷 필터링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