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ole.dir(document)로 Object 구조를 봤을때,
Object > EventTarget > Node > Document > HTMLDocument
로 되어있었다.
NodeType의 종류는 Node 함수 내부에 설정된 변수들로 알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나온다.
console.dir(Node)
func() {
ATTRIBUTE_NODE: 2
CDATA_SECTION_NODE: 4
COMMENT_NODE: 8
DOCUMENT_FRAGMENT_NODE: 11
DOCUMENT_NODE: 9
DOCUMENT_POSITION_CONTAINED_BY: 16
DOCUMENT_POSITION_CONTAINS: 8
DOCUMENT_POSITION_DISCONNECTED: 1
DOCUMENT_POSITION_FOLLOWING: 4
DOCUMENT_POSITION_IMPLEMENTATION_SPECIFIC: 32
DOCUMENT_POSITION_PRECEDING: 2
DOCUMENT_TYPE_NODE: 10
ELEMENT_NODE: 1
ENTITY_NODE: 6
ENTITY_REFERENCE_NODE: 5
NOTATION_NODE: 12
PROCESSING_INSTRUCTION_NODE: 7
TEXT_NODE: 3
}
ATTRIBUTE_NODE는 deprecated 되었다고 한다.
잠깐! 왜 window의 proto는 window고 그 proto는 window.. 끝이 없나?
Text와 Comment Node는 nodeValue를 이용해서 값을 바꿀수도 있다.
'기타 학습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허브 입문 2 - 3 (0) | 2021.05.03 |
---|---|
[Git] Git 허브 입문 1 (0) | 2021.05.02 |
유닉스 명령어 scp (0) | 2021.01.29 |
Webpack에 대해서 생각 모음 (0) | 2020.12.27 |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의 중요성 - 마틴 파울러 유튜브 영상 정리 (0) | 2020.12.22 |